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4월 19일 TIL - 심화 맛보기
    TIL(Today I Learned) 2023. 4. 19. 21:32

    ▷ 오늘의 일정

    09:10 ~ 12:00 장고 심화 강의 듣기
    12:00 ~ 13:00 점 심 식 사
    13:00 ~ 18:00 장고 심화 강의 듣기 with 알고리즘 문제 풀기
    18:00 ~ 19:00 저 녁 식 사
    19:00 ~ 20:40 하루 공부 내용 정리 및 TIL
    20:40 ~ 21:00 하루 공부 내용 공유

     

    ▷ 오늘의 배움

    • 포스트맨 : 다양한 HTTP 요청들을 보낼 수 있는 프로그램, 다양한 api를 만들어두고 개발을 할 때 편리하게 요청을 보낼 수 있다.
    • 웹 브라우저의 흐름
      1. DNS 조회 : (domain name system) 어려운 ip주소(전화번호역할) 대신 웹사이트의 이름으로(전화번호이름역할)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해준다. *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ip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!
      2. HTTP 요청 메시지 작성 : request headers, request body 등등...
      3. Socket 라이브러리를 통해서 전달
      4. TCP/IP 작성되고 이 안에 HTTP 메시지가 포함
      5. 그렇구나~ 다음에 더 자세히 알아보자
    • 포트 번호. http는 80 https는 443: https가 더 안전한 방식이다.
    • 리소스란 웹상에서 존재하는 어떠한 존재, 회원이라는 개념 자체가 리소스다. 메소드로 행위를 정한다.(수정,삭제,보기 등)
    • restful한 API는 리소스와 행위를 분리하는 것
      • 안 좋은 예 : '/member/delete/{id}', '/member/update/{id}' 등등 하나하나 url만들기
      • 좋은 예 : '/member/{id}' 회원정보 수정, 삭제, 조회, 변경 등 method로 행위를 정하기
    • Method
      • GET : 데이터 조회
      • POST : 요청된 데이터 처리. 주로 등록할 때 사용
      • PUT : 데이터 대체 혹은 생성/파일 붙여넣기와 동일. 없으면 만들고 있으면 덮어쓴다.
      • PATCH : 일부 변경 / put은 전체적으로 바꾸고 patch는 부분적으로 바꾼다.
      • DELETE : 데이터 삭제
    • 데이터 전송 방법
      • HTML Form
      • HTTP API
    • HTTP 상태 코드
      • 1XX : 요청 처리중.. -> 거의 사용하지 않음
      • 2XX : 처리가 됐다는 상태
      • 3XX : 다른 행동이 필요
      • 4XX : 클라이언트 오류
      • 5XX : 서버 오류

     

    ▷ 오늘의 시도

    # 문자열 내 마음대로 정렬하기
    # 문제 설명
    # 문자열로 구성된 리스트 strings와, 정수 n이 주어졌을 때, 각 문자열의 인덱스 n번째 글자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하려 합니다.
    # 예를 들어 strings가 ["sun", "bed", "car"]이고 n이 1이면 각 단어의 인덱스 1의 문자 "u", "e", "a"로 strings를 정렬합니다.
    # 제한 조건
    # strings는 길이 1 이상, 50이하인 배열입니다.
    # strings의 원소는 소문자 알파벳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    # strings의 원소는 길이 1 이상, 100이하인 문자열입니다.
    # 모든 strings의 원소의 길이는 n보다 큽니다.
    # 인덱스 1의 문자가 같은 문자열이 여럿 일 경우, 사전순으로 앞선 문자열이 앞쪽에 위치합니다.
    
    # 정렬하면 sort, sorted key값을 주어 정렬 기준을 주자
    strings.sort(key=lambda x:x[n]) #key에는 정렬을 목적으로 하는 함수를 값으로 넣는다.
    
    # 음 이렇게 돌려보니까 인덱스 n번째 문자가 같을 때 정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.
    # 그럼 먼저 리스트를 사전순으로 정렬한다음에 인덱스n을 기준으로 정렬하면 괜찮지 않을까?
    strings.sort()
    string.sort(key=lambda x:x[n])
    
    # 테스트 통과~
    # 최종함수
    def solution(strings, n):
        strings.sort()
        strings.sort(key=lambda x:x[n])
        return strings

     

    ▷ 오늘의 한줄

    오늘 집중이 안되는 날이었다. 내일부터는 집중 짝짝 하자!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